[지극히개인적인리뷰] 미디어아트 '속삭이는 대지': 초토화작전 그 후 70년
'속삭이는 대지'는 미디어아트를 기획한 이미영 감독의 전작 '초토화작전'에서 이어진다. 다큐멘터리 '초토화작전'은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과 중공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미군에 의해 이루어졌던 폭격에 의한 민간인 희생을 다루었던 문제작이었다.
예산시장 성공사례에서 찾은 인사이트 - 창업으로 혁신하는 로컬 ②편
‘창업으로 혁신하는 로컬’ 두 번째 이야기: 예산시장에서 찾은 인사이트
지역경제 활성화가 소멸하는 도시를 살리는 방법 아닐까? - 창업으로 혁신하는 로컬 ①편
- ‘창업으로 혁신하는 로컬’ 첫 번째 이야기: 지방소멸의 해법은 지역경제 활성화
지금부터, 스몰 비즈니스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스몰비즈니스의 시대① 프롤로그 새로운 형태의 창업자는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요즘 많이 회자되는 로컬크리에이터, 사회적기업의 경영주체, 창직을 통해 등장하는 다양한 비즈니스 페르소나들까지 포함하면 끝도 없습니다. 규정하기 어려운 작은 규모, 적은 매출의 사업자들을 통틀어 말하기가 애매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스몰 비즈니스’라는 용어로 이들을 통칭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차근차근 나눠보고자 합니다.
협업으로 협업하기
어떻게하면 1인기업이 지니는 효율을 유지하면서 1인기업을 벗어날 수 있을까 고민해보니, 그나마 1인기업 창업자들끼리의 시너지 창출이 가볼 만한 길이었다. "협업으로 협업하기"는 분업과 협업이 당연한 것처럼 되어 있는 업계의 비즈니스를 응용하면 보다 수월해진다. '기획자'의 형태로 개입해 협업을 주도하면 되는 거다.
내가 이곳저곳 돌아다니는 이유
처음에는 동네 소상공인들을 찾아가 그들의 이야기를 듣기 시작했다. 어디는 손님으로, 어디는 이웃으로 방문하면서 짧은 대화를 반복하며 그 속에서 지혜와 지식을 얻었다. 다양한 비즈니스의 현장을 돌아보고 벤치마킹해 자신의 비즈니스와 비교·대조하며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동종·이종 아이템의 결합, 협업의 가능성 등을 찾을 수 있도록 말이다.
매거진 Self의 시작!
이를 테면 편집장의, 편집장에 의한, 편집장을 위한 잡지다. 고로 오늘의 는 다. 또 모른다. 어느 날은 , 어떤 날은 , , 등 'S'로 시작하는 다양한 단어들로 내용이 끌려가지 않을까?
“로컬의 가치 담은 입욕제 개발에 도전합니다”
수원대 ‘키업(KeyUp)’ 최민서, 함태환 인터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에 맞춰 입욕제에 초점- 본격적인 사업화 위해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진입교육 참가 3월 12일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진입교육 현장에서 만난 창업팀 중 유난히 눈에 띄는 콤비가 있었습니다. 189cm의 장신에 거침없는 입담이 두드러진 최민서, 대조적으로 꽉 다문 입술에 신중한 눈빛을 빛내는 함태환 군입니다. 둘은 수원대학교 친구들로
Feature_탐방 | 도전하는 청년들, 끝까지 지원한다
- 3월 4, 12일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진입교육 케이스 스터디를 진행중인 한국표준협회 안제성 전문위원지난 3월 4일과 12일 서울 마포 소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 드림스퀘어 7층 대교육장에서는 신사업창업사관학교 지원을 희망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한창이었는데요. 12일 교육 현장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올해의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과정은 이제 시작 단계이기 때문에 2023년도 수료생 중에서 이번
3월의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소식 (주요 기사 클리핑)
2024.02.20. SBS | Biz소진공, 12개 지역 대학과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업무협약 로컬콘텐츠 중점대학은 지역문제 해결 의지와 로컬콘텐츠 개발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활용해 융복합적 소양을 갖춘 지역 기반 예비 창업자를 양성하고자 지난해부터 추진한 사업입니다. 지역 소상공인 등이 참여할 수 있는 실습·체험형 비교과 과정도 운영해 지역 내 창업 및 로컬생태계 조성의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출범 - 올해 12개 지역대학으로 확대 운영
2023년 7개 대학으로 시작해 2024년에는 12개 대학으로 확대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사업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2월 19일 서울 마포 드림스퀘어에서 12개 지역대학과 '2024년 로컬콘텐츠 중점대학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정원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정원기 실장, 한국표준협회 도시혁신센터 김신 센터장, 12개 지역대학에서 로컬콘텐츠 중점대학을 운영할 교수진과 실무진 등 각 기관 관계자 들이 참석해, 각 대학들의 과정운영 계획 발표가